Loading [MathJax]/jax/output/HTML-CSS/jax.js

페이지

2019년 7월 27일 토요일

선형 회귀 이해

선형 회귀 이해

1 소개

회귀 분석 과정을 다음 세 단계로 간단하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훈련 데이터 세트 (x, y)를 준비합니다. 여기서 x는 독립 변수, y는 종속 변수입니다.
  2. 훈련 데이터 세트를 표현할 수 있는 모델을 만들고 가장 근접한 결과를 보여 주는 파라미터를 찾습니다.
  3. 새로운 데이터의 x값이 주어질 때 앞에서 얻은 모델을 사용하여 y값을 예측합니다.
모델을 만들 때 종속 변수 y를 독립 변수 x의 일차식으로 표현하면 이를 선형 회귀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x가 하나의 변수이면 일변량 선형 회귀, 둘 이상의 변수이면 다변량 선형 회귀라고 합니다.
이 문서를 작성하면서 사용하는 주요 용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hypothesis - 모델을 나타내는 함수 식
  • feature - 독립 변수 x의 개별 요소
  • cost function - 훈련 데이터 세트의 종속 변수 y와 모델의 예측값의 차이를 나타내는 함수 식

2 일변량 선형 회귀

2.1 Hypothesis와 cost function

훈련 데이터의 feature가 한 개일 때 hypothesis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hθ(x)=θ0+θ1x1
위의 식에서 x는 데이터의 feature들이고 θ는 찾고자 하는 파라미터들입니다. x0=1라고 하면 위의 식을 다음과 같은 형태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hθ(x)=xTθ
x=(x0,x1),θ=(θ0,θ1)
데이터의 개수가 m일 때 cost function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y는 데이터의 결과값이고 (i)i번째 데이터임을 의미합니다.
J(θ)=12mmi=1(hθ(x(i))y(i))2
hypothesis를 대입하여 위 식을 전개하면 cost function은 각각의 파라미터에 대하여 아래로 볼록한 2차 함수가 됩니다.
J(θ)=12mmi=1(θ20+θ21x(i)21+y(i)2+2θ0θ1x(i)12θ1x(i)1y(i)2y(i)θ0)
이 cost function이 최소값을 가지도록 하는 파라미터 θ를 찾는 방법은 3 다변량 선형 회귀 단원에서 다루겠습니다.

3 다변량 선형 회귀

3.1 Hypothesis와 cost function

훈련 데이터의 feature가 n개일 때 hypothesis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x는 데이터의 feature들이고 θ는 찾고자 하는 파라미터들입니다.
hθ(x)=θ0+θ1x1+θ2x2++θnxn
데이터의 개수가 m일 때 cost function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y는 데이터의 결과값이고 (i)i번째 데이터임을 의미합니다.
J(θ)=12mmi=1(hθ(x(i))y(i))2

3.2 Gradient descent

cost function의 편미분을 사용하여 cost를 최소화하는 파라미터 θ를 찾을 수 있습니다. 다음은 gradient descent 방식을 나타내는 알고리즘입니다.
repeat{θj:=θjαJ(θ)θj}
J(θ)θj=1mmi=1(hθ(x(i))y(i))xj(i)
위의 식에서 α는 학습률(learning rate)입니다.

3.3 방정식의 해

아래로 볼록한 함수의 경우 기울기가 0일 때 최소값을 가지므로 다음 방정식을 풀어서 cost를 최소가 되게 하는 θ를 구할 수도 있습니다.
J(θ)θj=1mmi=1(hθ(x(i))y(i))xj(i)=0
위 방정식을 θ에 대해서 풀면 아래의 결과를 얻습니다.
θ=(XTX)1XTy
여기서 Xy는 다음과 같습니다.
X=[x(1)0x(1)1x(1)2x(2)0x(2)1x(2)2x(3)0x(3)1x(3)2],y=[y(1)y(2)y(3)]
하지만 이 방식은 몇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 행렬 XTX에 대한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n이 커짐에 따라 계산 비용이 gradient descent 방식보다 빠른 속도로 증가합니다.
Written with StackEdit.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유전자 정보에 따라 단백질이 생성되는 과정

  유전 정보는 DNA에 저장되어 있으며, 이 정보는 전사(transcription) 과정을 통해 RNA로 옮겨지고, 번역(translation) 과정을 통해 단백질로 만들어집니다. 진핵생물(사람을 포함한 대부분의 고등 생물)의 유전자는 단백질 정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