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지

2019년 9월 29일 일요일

새로운 측정기기의 유효성 판단 방법

새로운 측정기기의 유효성 판단 방법

이 글에서는 새로운 측정기기의 측정값과 표준 측정기기의 측정값간의 상관계수로 새로운 측정기기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음을 베이지안 추론 방식으로 보여줍니다.

상식적인 결론을 수학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작성하는 글입니다. 본문에서 요구하는 수학 지식은 조건부확률베이즈 정리입니다.

이 글에 대한 구체적인 구현 사례는 아래 노트북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문제 정의

현재 표준으로 사용하고 있는 기기(이하 표준기기)는 정밀도가 높기는 하지만 부피가 크고 고가이기 때문에 자주 이용하기는 어렵습니다. 이번에 가나다 업체에서 새롭게 개발한 기기(이하 신규기기)는 소형인데다가 가격도 저렴하여 가정에 구비해 놓고 사용할 수 있을 정도입니다.

그런데 신규기기가 측정하는 값과 표준기기가 측정하는 값의 종류가 서로 다릅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신규기기의 측정값을 토대로 표준기기의 측정값을 추정하는 모델을 개발하고 이의 유효성을 검증해야 합니다.

  • 표준기기 예시 - 컴퓨터단층촬영(CT)으로 복부 지방량 측정

  • 신규기기 예시 - 줄자로 허리 둘레 길이 측정

데이터 세트

신규기기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조사대상군을 정하고 임상시험을 진행하여 아래와 같은 데이터 세트를 확보하였습니다.

# 신규기기 측정값 표준기기 측정값
11 m1m_1 a1a_1
22 m2m_2 a2a_2
33 m3m_3 a3a_3
NN mnm_n ana_n
  • 표준기기의 측정값을 실제값으로 간주합니다.

베이지안 추론

베이즈 정리에 기반하여 다음과 같이 세 단계를 거쳐 추론하는 것을 베이지안 추론이라고 합니다.

  1. 기존의 믿음 (prior belief)
  2. 새로운 증거 (new evidence)
  3. 믿음의 수정 (update belief -> posterior belief)

베이즈 정리

베이즈 정리는 아래의 식으로 표현됩니다.

  • P(HE)=P(EH)×P(H)P(E)P(H|E) = \frac{P(E|H)\times P(H)}{P(E)}

위 식에서 각 항목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 EE : 사건 (event)
  • HH : 추론하고자 하는 값 (hypothesis)
  • P(H)P(H) : E가 발생하기 전의 H에 대한 확률분포 (prior probability distribution)
  • P(EH)P(E|H) : H를 알고 있을 때 E의 발생 가능도 (likelihood)
  • P(E)P(E) : H에 관계없이 E의 발생 가능도 (marginal likelihood)
  • P(HE)P(H|E) : E가 발생한 후의 H에 대한 확률분포 (posterior probability distribution)

위의 식을 신규기기의 유효성 판단 문제에 적용하기 위하여 E와 H를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 E: 신규기기의 측정값 (vmeasuredv_{measured})
  • H: 신규기기의 측정값으로부터 추정하는 실제값 (vactualv_{actual})

측정값이 vmeasuredv_{measured}일때 추정하는 실제값 vactualv_{actual}의 확률분포를 아래와 같이 조건부확률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 P(vactualvmeasured)P(v_{actual}|v_{measured})

이를 베이즈 정리에 따라 표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 P(vactualvmeasured)=P(vmeasuredvactual)×P(vactual)P(vmeasured)P(v_{actual}|v_{measured})=\frac { P(v_{measured}|v_{actual})\times P(v_{actual}) }{ P(v_{measured}) }

위 식의 각 항목에 대한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 P(vactual)P(v_{actual}) : 측정값을 알기 전의 실제값 vactualv_{actual}에 대한 확률분포
  • P(vmeasuredvactual)P(v_{measured}|v_{actual}) : 실제값이 vactualv_{actual}일때 측정값 vmeasuredv_{measured}을 얻을 가능도
  • P(vmeasured)P(v_{measured}) : 실제값이 무엇이냐에 관계없이 측정값 vmeasuredv_{measured}을 얻을 가능도
  • P(vactualvmeasured)P(v_{actual}|v_{measured}) : 측정값이 vmeasuredv_{measured}일때 추정하는 실제값 vactualv_{actual}에 대한 확률분포

실제값 추정

임상시험을 통해서 수집한 데이터 세트로부터 아래의 항목들을 구합니다.

  • P(vactual)P(v_{actual}) : 표준기기 측정값에 대한 확률분포
  • P(vmeasuredvactual)P(v_{measured}|v_{actual}) : 표준기기 측정값이 vactualv_{actual}일때 신규기기 측정값 vmeasuredv_{measured}에 대한 확률분포
  • P(vmeasured)P(v_{measured}) : 신규기기 측정값에 대한 확률분포

측정값이 vmeasuredv_{measured}일때 vactualv_{actual} 전 구간에 대하여 사후 확률분포 P(vactualvmeasured)P(v_{actual}|v_{measured}) 값들을 구합니다.

  • P(vactual1vmeasured)=P(vmeasuredvactual1)×P(vactual1)P(vmeasured)P(v_{actual_1}|v_{measured})=\frac { P(v_{measured}|v_{actual_1})\times P(v_{actual_1}) }{ P(v_{measured}) }
  • P(vactual2vmeasured)=P(vmeasuredvactual2)×P(vactual2)P(vmeasured)P(v_{actual_2}|v_{measured})=\frac { P(v_{measured}|v_{actual_2})\times P(v_{actual_2}) }{ P(v_{measured}) }
  • ......
  • P(vactualkvmeasured)=P(vmeasuredvactualk)×P(vactualk)P(vmeasured)P(v_{actual_k}|v_{measured})=\frac { P(v_{measured}|v_{actual_k})\times P(v_{actual_k}) }{ P(v_{measured}) }
  • ......
  • P(vactualm1vmeasured)=P(vmeasuredvactualm1)×P(vactualm1)P(vmeasured)P(v_{actual_{m-1}}|v_{measured})=\frac { P(v_{measured}|v_{actual_{m-1}})\times P(v_{actual_{m-1}}) }{ P(v_{measured}) }
  • P(vactualmvmeasured)=P(vmeasuredvactualm)×P(vactualm)P(vmeasured)P(v_{actual_m}|v_{measured})=\frac { P(v_{measured}|v_{actual_m})\times P(v_{actual_m}) }{ P(v_{measured}) }

위의 사후확률 값들 중에서 vactualkv_{actual_k}일 때 최대가 된다면 실제값은 vactualkv_{actual_k}일 가능성이 가장 크다고 추정합니다. 이것을 Maximum A Posteriori (MAP) 추정이라고 부릅니다.

  • P(vactual)P(v_{actual})은 조사대상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P(vmeasured)P(v_{measured}) 값은 위의 값들을 구하는 과정에서 변하지 않기 때문에 무시해도 됩니다.
  • P(vmeasuredvactual)P(v_{measured}|v_{actual}) 항목은 표준기기 측정값과 신규기기 측정값과의 관계를 나타냅니다.

신규기기의 유효성 판단

실제값과 측정값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아래 항목을 통해서 신규기기의 유효성 판단 방법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 P(vmeasuredvactual)P(v_{measured}|v_{actual})

유효성 판단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데이터 분석

  1. 데이터 세트의 (vactualv_{actual}, vmeasuredv_{measured})로 산포도를 그립니다.
  2. 두 값의 상관관계를 표현할 수 있는 모델(예를 들어 선형 회귀 모델)을 정의합니다.
  3. vactualv_{actual}vmeasuredv_{measured}의 상관계수를 구합니다.

2. 유효성 판단

측정값으로부터 실제값을 추정함에 있어서 위에서 구한 상관계수의 크기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집니다.

  • 낮은 상관계수: P(vmeasuredvactual)P(v_{measured}|v_{actual})P(vactualvmeasured)P(v_{actual}|v_{measured}) 계산에 미치는 영향이 작고 이는 측정값이 실제값에 대한 추정에 크게 기여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함
  • 높은 상관계수: P(vmeasuredvactual)P(v_{measured}|v_{actual})P(vactualvmeasured)P(v_{actual}|v_{measured}) 계산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이는 측정값이 실제값의 추정에 크게 기여하다는 것을 의미함

따라서 신규기기의 유효성을 아래와 같이 판단할 수 있습니다.

  • 상관계수가 작다 ==> 신규기기의 유효성이 낮다
  • 상관계수가 크다 ==> 신규기기의 유효성이 높다

Written with StackEdit.

댓글 없음:

댓글 쓰기

JWT 토큰 생성과 유효성 확인 과정

JWT 토큰 생성과 유효성 확인 과정 API 서비스를 개발하고 이에 대한 접근 권한을 제어하기 위하여 JSON Web Token(JWT)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 문서에서는 JWT 토큰의 생성과 유효성 확인 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