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9월, 2019의 게시물 표시

새로운 측정기기의 유효성 판단 방법

새로운 측정기기의 유효성 판단 방법 이 글에서는 새로운 측정기기의 측정값과 표준 측정기기의 측정값간의 상관계수로 새로운 측정기기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음 을 베이지안 추론 방식으로 보여줍니다. 상식적인 결론을 수학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작성하는 글입니다. 본문에서 요구하는 수학 지식은 조건부확률 과 베이즈 정리 입니다. 이 글에 대한 구체적인 구현 사례는 아래 노트북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새로운 측정기기의 유효성 판단 방법 - 히스토그램 모델 문제 정의 현재 표준으로 사용하고 있는 기기(이하 표준기기)는 정밀도가 높기는 하지만 부피가 크고 고가이기 때문에 자주 이용하기는 어렵습니다. 이번에 가나다 업체에서 새롭게 개발한 기기(이하 신규기기)는 소형인데다가 가격도 저렴하여 가정에 구비해 놓고 사용할 수 있을 정도입니다. 그런데 신규기기가 측정하는 값과 표준기기가 측정하는 값의 종류가 서로 다릅니다 . 이러한 경우에는 신규기기의 측정값을 토대로 표준기기의 측정값을 추정 하는 모델을 개발하고 이의 유효성을 검증해야 합니다. 표준기기 예시 - 컴퓨터단층촬영(CT)으로 복부 지방량 측정 신규기기 예시 - 줄자로 허리 둘레 길이 측정 데이터 세트 신규기기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조사대상군을 정하고 임상시험을 진행하여 아래와 같은 데이터 세트를 확보하였습니다. # 신규기기 측정값 표준기기 측정값 1 1 1 m 1 m_1 m 1 ​ a 1 a_1 a 1 ​ 2 2 2 m 2 m_2 m 2 ​ a 2 a_2 a 2 ​ 3 3 3 m 3 m_3 m 3 ​ a 3 a_3 a 3 ​ … … … N N N m n m_n m n ​ a n a_n a n ​ 표준기기의 측정값을 실제값으로 간주합니다. 베이지안 추론 베이즈 정리에 기반하여 다음과 같이 세 단계를 거쳐 추론하는 것을 베이지안 추론이라고 합니다. 기존의 믿음 (p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