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3월, 2023의 게시물 표시

Dart에서 Future, await, async 이해

Dart에서 Future, await, async 이해 1. 들어가는 말 Dart에서 제공하는 Future, await, async를 이해하는 방법 중의 하나는 해당 단어들에 대한 설명과 예제를 찾아서 살펴보는 것입니다. 저도 처음에는 그렇게 접근했는데 여러 글들을 읽고 나서도 왠지 선명하게 이해되지는 않았습니다. 그래서 다른 접근 방법을 통해서 이해해 보고자 합니다. 2. 함수의 호출과 결과 반환 A가 함수 B를 호출(call)하는 이유는 함수가 제공하는 작업(task) C를 수행하기 위함입니다. 함수의 호출 종료 시점은 작업 완료 시점일 수도 있고 그 전일 수도 있습니다. B 함수 호출 종료 시점 (T1) B 함수 호출 종료 시점에 반환하는 데이터 (R1) B 함수 작업 완료 시점 (T2) B 함수 작업 완료 시점에 반환하는 데이터 (R2) 2.1. 동기 함수 동기 함수의 경우 위의 T1과 T2가 같고 그 결과로 R1과 R2도 같습니다. 예제-1. 동기 함수 String B ( ) { return 'Hello, World!' ; } void main ( ) { String r = B ( ) ; print ( r ) ; } 2.2. 비동기 함수 비동기 함수의 경우 T1이 T2에 앞서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R1과 R2는 서로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2.2.1. 호출의 결과와 작업의 결과 함수를 호출하는 목적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함이라는 것을 생각한다면 호출하는 쪽에서 정말로 필요로 하는 것은 R2입니다. 그렇다면 R1은 무엇이 되는 것이 좋을까요? Future - 미래에 A가 B로부터 작업의 결과를 넘겨 받는 그릇 A 입장에서는 나중에 R2를 받을 수 있는 그릇 B 입장에서는 나중에 R2를 넣을 수 있는 그릇 2.2.2. 호출 종료 시점과 반환 데이터 또 필요한 것은 함수 B 내의 특정 지점에서 호출을 종료한다는 표...

믿음의 정도를 수로 나타내고 이에 대한 수정 과정을 수식으로 표현하기

인간은 살아가면서 수많은 결정을 내리고 그것이 기대한 결과로 이어지기를 바랍니다. 부서 회식 장소 결정하기 영어 학원 등록 여부 결정하기 이사할 집 결정하기 결혼할 배우자 결정하기 입사할 회사 결정하기 결정에 따르는 결과를 완전히 운에 맡기는 것이 아니라면 결정을 내리기 전까지 거치는 과정을 아래와 같은 다이어그램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사실(fact), 확률(probability) 대신에 굳이 믿음(belief)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이유는 충분한 증거가 없는 상태에서 무엇이 어떠하다라고 생각하는 것은 믿음에 가깝기 때문입니다. 한편으로는 믿음이라고 표현함으로써 얻게 되는 이득 중의 하나는 구체적인 적용을 시도할 때 엄밀함을 추구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일상 대화에서 믿음의 정도를 백분율로 표현하곤 합니다. 예를 들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나는 이번 선거에서 홍길동 후보가 당선될 것이라고 100% 확신한다. 나는 이 도자기가 고려시대에 만들어졌을 가능성은 고작 10% 정도라고 본다. 나는 이 식물이 암 치료에 99% 효과가 있다고 믿는다. 그러다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믿음에 반하거나 부합하는 어떤 증거를 발견하게 되면 믿음의 정도를 낮추거나 높입니다. 예시-1. 지구는 편평하다는 믿음 수정 과정 지구는 평평하다. (기존의 믿음) 바다에서 해안으로 접근하는 배의 꼭대기부터 보인다. (새로운 증거) 새로운 증거로 인해 지구가 평평하다는 믿음이 약해진다. (수정된 믿음) 예시-2. 인류 출현 시기에 대한 지식 수정 과정 인류는 20만년 전에 출현했다. (기존의 지식) 독일과 모로코 공동연구팀은 7일(현지시각) 북서부 아프리카의 모로코 한 유적지에서 발굴한 호모 사피엔스의 두개골, 이빨, 아래턱뼈 등 화석들의 연대를 분석한 결과 30만년 전 것으로 확인됐다고 과학저널 <네이처> 8일치에 보고했다. (새로운 증거) 인류가 30만년 전 출현했다. (수정된 지식) 예시-3. 유방암에 걸렸을 확률 수정 과정 관심 대상군에 속하는 여성의 1%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