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fmea인 게시물 표시

TARA-1. 잠재적 위험을 예측하고 방지하는 방법: FMEA, FTA, TARA

잠재적인 위협과 시스템의 취약점을 사전에 파악하고 대응 방안을 수립하 위해 다양한 분석 기법이 활용되며, 대표적으로 FMEA, FTA, TARA가 있습니다. 각 분석 방법은 고유한 접근 방식과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FMEA (고장 형태 및 영향 분석) FMEA(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는 제품, 공정 또는 시스템의 잠재적인 고장 형태(Failure Mode)를 식별하고, 각 고장이 시스템 전체에 미치는 영향(Effects)을 분석하여 위험도를 평가하고 예방 조치를 마련하는 상향식(Bottom-up) 분석 기법입니다. 즉, 개별 구성 요소의 작은 결함에서부터 시작하여 전체 시스템에 미칠 영향을 예측하고 분석합니다. 주요 특징: 귀납적 분석: 개별 부품이나 공정 단계의 잠재적 고장에서 시작하여 상위 시스템의 영향을 분석합니다. 정성적 및 정량적 평가: 고장의 심각도(Severity), 발생 빈도(Occurrence), 검출 가능성(Detection)을 점수화하여 위험 우선순위 번호(RPN, Risk Priority Number)를 산출하고, 이를 통해 개선 조치의 우선순위를 결정합니다. RPN=심각도(S)×발생도(O)×검출도(D) 사전 예방: 설계 초기 단계나 공정 개발 단계에서 잠재적 위험을 제거하거나 완화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분석 절차: 분석 대상 선정 (시스템, 설계, 공정 등) 잠재적 고장 형태 식별 고장의 잠재적 영향 평가 고장의 잠재적 원인 분석 현재의 관리 및 통제 방안 검토 심각도, 발생도, 검출도 평가 및 RPN 산출 개선 조치 권고 및 실행 조치 결과 확인 및 재평가 FTA (결함 나무 분석) FTA(Fault Tree Analysis)는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특정 정상 사상(Top Event, 바람직하지 않은 사건)을 미리 정의하고, 그 원인이 되는 기본 사상(Basic Event)들을 논리 게이트(AND, OR 등)를 사용하여 트리(Tree) 구조로 도식화하여 분석하는 하향식(Top-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