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심리변화인 게시물 표시

NP-07. 나이와 보수화: 뇌 가소성으로 풀어보는 심리 변화의 메커니즘

나이가 들면 왜 익숙한 것만 찾게 될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심리학이 아닌 뇌과학, 특히 '뇌 가소성(Neuroplasticity)'의 저하에서 찾으려는 흥미로운 관점이 있습니다. 최신 뇌과학의 연구들을 바탕으로, 이 가설이 얼마나 타당한지 단계별로 심층 분석해 보겠습니다. 1단계: 가설의 뼈대 - 핵심 전제 분석 이 가설은 세 가지 핵심 전제를 바탕으로 합니다. 각 전제의 타당성을 검토해 보겠습니다. 전제 1: "나이가 들면 보수적이 되는 경향이 있다." 사회·심리학적 타당성: 높음​ 이것은 여러 연구와 사회적 통념으로 뒷받침되는 일반적인 경향성입니다. 물론 모든 개인이 동일한 변화를 겪는 것은 아니며, 특정 시대를 함께 경험한 집단의 '코호트 효과(Cohort Effect)' 역시 큰 영향을 미칩니다. 하지만 한 개인의 생애 주기 내에서, 젊은 시절에 비해 안정, 예측 가능성, 기존 가치를 선호하는 방향으로 심리적 무게중심이 이동하는 경향은 분명히 관찰됩니다. 따라서 이 전제는 가설의 출발점으로서 타당합니다. 전제 2: "뇌의 학습 능력, 즉 뇌 가소성이 약화된다." 뇌과학적 타당성: 매우 높음​ 이것은 노화 연구에서 명백하게 증명된 사실입니다. 나이가 들면서 신경세포(뉴런) 간의 연결인 시냅스의 생성 및 변화 속도가 느려집니다. 이는 뇌의 '회로 변경' 능력이 둔화되는 것과 같습니다. 새로운 것을 배우거나 경험할 때 뇌 회로가 빠르고 유연하게 재구성되어야 하는데, 이 과정에 더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 전제 역시 과학적으로 매우 타당합니다. 전제 3: "과거의 기억이 새로운 기억보다 우세해진다." 신경·인지과학적 타당성: 매우 높음 이 부분이 가설의 핵심이며, 매우 설득력 있는 논리를 제공합니다. '잘 닦인 고속도로' vs '새로운 오솔길': 젊은 시절부터 수십 년간 반복적으로 사용하고 강화해 온 생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