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라벨이 pets인 게시물 표시

정보 보안 vs. PETs: 데이터를 '지키는' 기술과 '안전하게 활용하는' 기술

정보 보안 기술과 개인정보보호 강화 기술(PETs)은 데이터를 보호한다는 공통점을 갖지만, 목표와 범위, 핵심 기능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입니다. 정보 보안 기술이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데이터라는 성을 지키는 '견고한 방패'라면, PETs는 성 안의 중요한 개인정보를 보호하면서도 안전하게 바깥과 교류(활용)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주는 '마법 열쇠'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핵심 목표의 차이 가장 큰 차이는 기술이 추구하는 핵심 목표에 있습니다. 정보 보안 기술: 정보의 기밀성(Confidentiality), 무결성(Integrity), 가용성(Availability), 즉 '정보 보안의 3요소(CIA Triad)' 보장을 최우선으로 합니다. 허가되지 않은 접근을 막고, 데이터 위변조를 방지하며, 필요할 때 언제든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보호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개인정보보호 강화 기술 (PETs):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도 그 과정에서 특정 개인이 노출되지 않도록 '익명성'을 보장하고, 정보 주체가 자신의 데이터를 통제할 수 있는 '통제권'을 부여하는 것을 핵심 목표로 삼습니다. 이는 '데이터 활용 가치 극대화'와 '프라이버시 철저 보호'라는, 자칫 상충될 수 있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으려는 기술적 시도입니다. 범위 및 주요 기술 목표가 다른 만큼 기술의 범위와 적용되는 주요 기술에도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습니다. 정보 보안 기술 (Information Security Technologies) 주요 목표: 시스템 및 데이터의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 확보 보호 대상: 데이터가 저장된 시스템, 네트워크, 서버 등 조직의 '인프라' 전체 (개인정보는 보호해야 할 여러 정보 자산 중 하나로 간주) 핵심 기능: 접근 통제, 암호화, 위협 탐지 및 대응, 방화벽, 백신 기술 예시:   네트워크 보안 (방화벽, 침입 탐지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