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SAE 21434 표준에서 제시하는 TARA(Threat Analysis and Risk Assessment)는 자동차 사이버 보안의 핵심으로, 차량의 전체 생명주기에 걸쳐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위협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위험도를 평가하여 보안 대책을 수립하는 과정입니다. 이 절차는 단순히 기술적인 취약점을 찾는 것을 넘어, 공격자의 관점에서 자산을 식별하고, 가능한 모든 공격 시나리오를 도출하여 위험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절차는 크게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됩니다. 1단계: 아이템 정의 (Item Definition) 가장 먼저 분석의 대상과 범위를 명확히 합니다. 무엇을 보호할 것인지 정의하는 단계입니다. 주요 활동: 대상 시스템 식별: 분석할 차량의 특정 시스템(예: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ADAS)이나 전자제어장치(ECU)를 선정합니다. 기능 및 아키텍처 분석: 대상 시스템의 기능, 구성 요소, 데이터 흐름,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 등을 파악하여 시스템의 동작 방식을 이해합니다. 이를 통해 공격이 발생할 수 있는 지점(공격 표면)을 예측합니다. 2단계: 자산 식별 및 영향 평가 (Asset Identification & Impact Rating) 시스템 내에서 공격자에게 가치가 있거나, 손상되었을 때 심각한 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 핵심 자산(Asset)을 식별하고, 해당 자산이 침해되었을 때의 영향도를 평가합니다. 주요 활동: 자산 목록화: 보호해야 할 모든 유·무형 자산을 목록으로 만듭니다. (예: 개인정보, 인증키, 제어 신호, ECU 펌웨어 등) 손상 시나리오(Damage Scenario) 정의: 자산이 훼손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최악의 피해 상황을 가정합니다. 영향도 평가: 각 손상 시나리오가 안전(Safety), 재무(Financial), 운영(Operational), 개인정보(Privacy) 측면에 미치는 심각도를 '높음', '중간', '낮음' 등으로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