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보안의 3요소는 기밀성(Confidentiality), 무결성(Integrity), 가용성(Availability)이며, 영문 앞 글자를 따서 'CIA Triad'라고도 부릅니다. 이 세 가지 요소는 정보 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핵심 원칙으로, 어느 하나라도 무너지면 심각한 보안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1. 기밀성 (Confidentiality) 개념 정보를 포함한 모든 자산에 대해 오직 인가된 사용자만이 접근할 수 있도록 통제하는 원칙입니다. '알아야 할 사람만 알아야 한다(Need-to-know)'는 원칙과 일맥상통하며, 허가되지 않은 정보 유출을 방지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주요 기술 암호화(Encryption): 데이터를 알아볼 수 없는 형태로 바꾸어 허가된 사용자만 복호화 키를 통해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합니다. 접근 통제(Access Control): 사용자, 프로세스, 시스템 등에 대해 식별, 인증, 권한 부여를 통해 접근을 제어합니다. (예: RBAC - 역할 기반 접근 통제) 가상 사설망(VPN): 공용 네트워크(인터넷)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때, 암호화된 터널을 생성하여 통신 내용의 도청을 방지합니다. 데이터 마스킹(Data Masking): 실제 데이터와 유사한 형식의 가짜 데이터로 대체하여 개인정보나 민감한 데이터의 노출을 방지합니다. 대표 사례: 온라인 뱅킹 사례: 사용자가 자신의 온라인 뱅킹 계좌에 로그인할 때, 아이디와 비밀번호, 공인인증서나 OTP를 통해 본인 인증을 거칩니다. 이 과정을 통과한 사람만이 자신의 계좌 잔액과 거래 내역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만약 다른 사람이 이 정보를 볼 수 있다면 기밀성이 깨진 것입니다. 은행 내부 직원이라도 정당한 사유나 권한 없이는 고객의 금융 정보에 접근할 수 없도록 통제하는 것 또한 기밀성 확보의 일환입니다. 2. 무결성 (Integrity) 개념 정보가 권한 없는 자에 의해 위조되거나 변조되지 않았음을 보장하는 원칙입니다. 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