찌그러진 동전 던지기로 정보량, 기댓값, 엔트로피 쉽게 설명 1. 찌그러진 동전 던지기 던지면 백 번 중 한 번의 확률로 뒷면이 나오는 찌그러진 동전이 있습니다. p h = 99 100 p t = 1 100 \begin{align} & p_{h} = \frac {99}{100} \\ & p_{t} = \frac {1}{100} \end{align} p h = 100 99 p t = 100 1 여기서, p h p_h p h : 앞면(head)이 나올 확률 p t p_t p t : 뒷면(tail)이 나올 확률 이 글 전체에서 위의 동전을 예로 사용하였습니다. 2. 특정 사건의 정보량(Information Content) 정보량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I x = − l o g 2 p x \begin{align} I_x = -log_2{p_x} \end{align} I x = − l o g 2 p x 여기서, x x x : 개별 사건(동전 앞면, 뒷면) p x p_x p x : 특정 사건 x x x 가 발생할 확률 I x I_x I x : 특정 사건 x x x 가 발생함을 알았을 때 얻게 되는 정보량 동전 던지기 결과를 알았을 때 그 정보의 가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평가가 가능합니다. 결과가 앞면임을 알았을 때: 뒷면보다는 자주 발생하는 사건이라서 정보의 가치는 뒷면이 나왔을 때보다 작다. 결과가 뒷면임을 알았을 때: 앞면보다는 드물게 발생하는 사건이라서 정보의 가치는 앞면이 나왔을 때보다 크다. 정보량을 정보의 가치라고 해석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합니다. I h < I t \begin{align} I_{h} < I_{t} \end{align} I h < I t 여기서, I h I_h I h : 앞면이 나온 것을 알았을 때의 정보량 I t ...